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8

윈도우7 바로가기 / window7 바로가기 (빠른실행, 링크) 윈도우7 바로가기 / window7 바로가기 (빠른실행, 링크) 윈도우7에서 작업표시줄에 바로가기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렇게 바로가기가 없는 경우 작업표시줄에서 마우스 우클릭->도구모음->링크 선택. 위와 같이 "링크"가 생깁니다. 경계선을 잡고 왼쪽으로 늘려 줍니다. 링크 안에 바로가기 아이콘들이 있지만, 텍스트가 길어서 보기 힘듭니다. 링크 범위 내에서 마우스 우클릭. 텍스트 표시, 제목표시, 보기에 작은 아이콘 등이 체크 되어 있습니다. 제목표시를 해제 하면 위와 같이 "링크"라는 제목이 사라집니다. 텍스트 표시를 해제하면 아이콘들의 이름이 사라집니다. 보기에서 큰 아이콘을 선택하면 위와 같이 아이콘틀의 크기가 크게 나타납니다. 링크의 위치는 경계선을 잡고 원하는 위치에 옮겨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2011. 3. 25.
윈도우7 단축키 / window7 단축키 (창 모드 변환하기 / 창 이동하기) 윈도우7 단축키 / window7 단축키 (창 모드 변환하기 / 창 이동하기) 윈도우7에서 듀얼을 사용하시는 분들 중 울트라몬을 사용하지 않으시는 분들 ^^;; 최대 활성화 된 창의 화면입니다. 윈도우키 + ← 키 (화면의 왼쪽 반으로 변합니다.) 윈도우키 + → 키 (화면의 오른쪽 반으로 변합니다.) 윈도우키 + ↓ 키 (화면의 최대 활성화에서 그냥 보통 창의 크기로 변합니다.) 윈도우키 + ↑ 키 (화면의 최대 활성화창 모드로 변합니다.) 듀얼 모니터, 그 이상의 모니터를 쓰는 경우 윈도우키를 누른 상태에서 해당 방향의 방향키를 누르면 1차로 화면이 줄어들고 그 다음엔 화면이 해당 방향 모니터로 이동 됩니다. 현재 최대화 창 화면에서 윈도우키 + →→↑ 누른다면 옆 모니터의 최대화 창으로 변하겠죠?ㅎ.. 2011. 3. 25.
ibook 테아 책장. (스피드군님 외 다수) ibook 테아 책장. (스피드군님 외 다수) 제가 만들거나 한 아이콘들이 아닙니다. 제가 쓰려고 여기 저기서 모았던 것들 올립니다. 한 분에게서 받은게 아니라. 어느 분이 만들었는지 기억이 나질 않네요..ㅠㅠ 대부분 스피드군님 아이콘이며 그 외 카페나 블로그 등에서 받았던 것들 입니다. 만드신 분들 글 보시면 알려주세요. 링크 걸어서 출력 남기겠습니다 ^^ 스피드군(http://dove77.blog.me/) 받아 가시는 분들. 아래 추천 한번 부탁드려요. ^-^;; 2011. 3. 25.
ibook 테아 세로책 아이콘. (스피드군님 외 다수) ibook 테아 세로책 아이콘. (스피드군님 외 다수) 제가 만들거나 한 아이콘들이 아닙니다. 제가 쓰려고 여기 저기서 모았던 것들 올립니다. 한 분에게서 받은게 아니라. 어느 분이 만들었는지 기억이 나질 않네요..ㅠㅠ 대부분 스피드군님 아이콘이며 그 외 카페나 블로그 등에서 받았던 것들 입니다. 만드신 분들 글 보시면 알려주세요. 링크 걸어서 출력 남기겠습니다 ^^ 스피드군(http://dove77.blog.me/) 받아 가시는 분들. 아래 추천 한번 부탁드려요. ^-^;; 2011. 3. 25.
ibook 테아 장식 아이콘. (스피드군님 외 다수) ibook 테아 장식 아이콘. (스피드군님 외 다수) 제가 만들거나 한 아이콘들이 아닙니다. 제가 쓰려고 여기 저기서 모았던 것들 올립니다. 한 분에게서 받은게 아니라. 어느 분이 만들었는지 기억이 나질 않네요..ㅠㅠ 대부분 스피드군님 아이콘이며 그 외 카페나 블로그 등에서 받았던 것들 입니다. 만드신 분들 글 보시면 알려주세요. 링크 걸어서 출력 남기겠습니다 ^^ 스피드군(http://dove77.blog.me/) 받아 가시는 분들. 아래 추천 한번 부탁드려요. ^-^;; 2011. 3. 25.
C언어 정리. 간략하게 C언어 정리 요약 했던 것들. 간단하게. 0이 아닌 모든 수는 True로 인식 %표기하고 싶을 땐 %% 하면 나옴. "는 \" 로 쓰면 됨 sizeof(배열)/sizeof(배열타입) 하면 배열의 요소의 개수가 나온다. int arr[10] 경우 배열 사이즈는 40일꺼구 인트 사이즈인 4로 나누면 10. EOF - 입력 함수가 파일의 끝을 의미. 파일이 아니고 키보드 입력의 경우 CTRL + Z로 인식. 중지. 문자 입.출력 함수(putchar, fputc, getchar, fgetc) getchar, fgetc 한 문자만 입력 받아서 반환. fgetc는 파일에서도 입력 받을 수 있다. (파일 내용 읽기) putchar, fputc 한 문자만 출력. fputc는 파일로도 출력 할 수 있다. (파일에 내용 .. 2011. 3.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