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컴퓨터(O/S)/Linux28

[linux] VirtualBox에서 xshell 연동하기. [linux] VirtualBox에서 xshell 연동하기. [linux] VirtualBox에서 ssh 사용하기. 장치 -> 네트워크 어댑터. 포트 포워딩 클릭. 추가 선택. 호스트 포트와 게스트 포트를 클릭해서 22를 각각 입력. 어떤 ip던 22번 포트(ssh)를 사용하면 버츄얼박스 쪽으로 넘겨주는 작업. apt-get install ssh 입력. (ssh 설치) ps -ef | grep ssh 로 실행 중인 모습 확인. sshd. netstat -a --tcp | grep ssh ssh 상태 확인. netstat -an --tcp | grep ssh 22 상태 확인. (22가 ssh 포트번호) Xshell 실행. 파일 -> 새로만들기. 원하시면 이름을 변경하셔도 됩니다. 호스트에 127.0.0.1.. 2011. 11. 4.
[linux] VirtualBox에서 xshell 연동하기. [linux] VirtualBox에서 xshell 연동하기. [linux] VirtualBox에서 ssh 사용하기. 장치 -> 네트워크 어댑터. 포트 포워딩 클릭. 추가 선택. 호스트 포트와 게스트 포트를 클릭해서 22를 각각 입력. 어떤 ip던 22번 포트(ssh)를 사용하면 버츄얼박스 쪽으로 넘겨주는 작업. apt-get install ssh 입력. (ssh 설치) ps -ef | grep ssh 로 실행 중인 모습 확인. sshd. netstat -a --tcp | grep ssh ssh 상태 확인. netstat -an --tcp | grep ssh 22 상태 확인. (22가 ssh 포트번호) Xshell 실행. 파일 -> 새로만들기. 원하시면 이름을 변경하셔도 됩니다. 호스트에 127.0.0.1.. 2011. 11. 4.
왕초보도 이해하는 vi, vim 간단 명령표. vi, vim 이동, 삭제, 복사, 삭제취소, 다음검색, 블럭지정 vi, vim 이동, 삭제, 복사, 복사취소, 이전검색, 블럭설정 vi, vim 이동, 삭제, 복사, 삭제취소, 검색, 범위지정 vi, vim 이동, 삭제, 복사, 복사취소, 검색, 범위설정 실행 결과을 캡쳐한 내용을 보시고 보시면 훨씬 이해가 쉽습니다. 왕초보도 이해하는 vi, vim 사용기 기초 그림설명. 왕초보도 이해하는 vi, vim 사용기 중급. 그림설명. vi, vim 간단 명령표. 이동 1줄 방향키 한 페이지 Ctrl + f, Ctrl + b Page Down, Page Up 키와 동일 반 페이지 Ctrl + u, Ctrl + d 지정한 라인 :라인 :150 [150줄], :$ [맨끝줄], 삭제 한 글자 x 커서가 위치한 한 .. 2011. 11. 3.
왕초보도 이해하는 vi, vim 간단 명령표. vi, vim 이동, 삭제, 복사, 삭제취소, 다음검색, 블럭지정 vi, vim 이동, 삭제, 복사, 복사취소, 이전검색, 블럭설정 vi, vim 이동, 삭제, 복사, 삭제취소, 검색, 범위지정 vi, vim 이동, 삭제, 복사, 복사취소, 검색, 범위설정 실행 결과을 캡쳐한 내용을 보시고 보시면 훨씬 이해가 쉽습니다. 왕초보도 이해하는 vi, vim 사용기 기초 그림설명. 왕초보도 이해하는 vi, vim 사용기 중급. 그림설명. vi, vim 간단 명령표. 이동 1줄 방향키 한 페이지 Ctrl + f, Ctrl + b Page Down, Page Up 키와 동일 반 페이지 Ctrl + u, Ctrl + d 지정한 라인 :라인 :150 [150줄], :$ [맨끝줄], 삭제 한 글자 x 커서가 위치한 한 .. 2011. 11. 3.
왕초보도 이해하는 vi, vim 사용기 기초. 일단 기본기부터 익히도록 하자. 명령모드 vs 편집모드. [꼭 알아야 할 개념이니 절대 그냥 넘어가지 말자] 명령모드. 명령모드는 정해진 단축키나 명령들을 입력하는 모드로, 화면에 커서도 나오지만 글자가 수정되지 않는다. 글자를 입력하려고 누르다 보면 정해진 단축키들이 실행되서 엉뚱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니 주의. 화면 가장 하단에 아무런 표시가 없다면 명령모드 상태. 편집모드. 내용을 수정하는 모드로. 글자를 삭제하고 글을 쓰고 하는 모드이다. 화면 가장 하단에 - 끼워넣기 - , - insert - 같은 문구가 있다면 편집모드 상태. 처음 파일을 열명 명령모드로 시작되며, i , a를 누르면 편집모드로 전환. 편집 모드에서 esc키를 누르면 명령모드로 전환. i 키는 커서가 위치한 곳에서 부터 수정.. 2011. 11. 3.
왕초보도 이해하는 vi, vim 사용기 기초. 일단 기본기부터 익히도록 하자. 명령모드 vs 편집모드. [꼭 알아야 할 개념이니 절대 그냥 넘어가지 말자] 명령모드. 명령모드는 정해진 단축키나 명령들을 입력하는 모드로, 화면에 커서도 나오지만 글자가 수정되지 않는다. 글자를 입력하려고 누르다 보면 정해진 단축키들이 실행되서 엉뚱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니 주의. 화면 가장 하단에 아무런 표시가 없다면 명령모드 상태. 편집모드. 내용을 수정하는 모드로. 글자를 삭제하고 글을 쓰고 하는 모드이다. 화면 가장 하단에 - 끼워넣기 - , - insert - 같은 문구가 있다면 편집모드 상태. 처음 파일을 열명 명령모드로 시작되며, i , a를 누르면 편집모드로 전환. 편집 모드에서 esc키를 누르면 명령모드로 전환. i 키는 커서가 위치한 곳에서 부터 수정.. 2011. 1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