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8

2진수와 8진수 그리고 16진수의 관계와 변환 방법 2진수 8진수 변환2진수 16진수 변환8진수 16진수 변환 2진수와 8진수 그리고 16진수의 관계2진수와 8진수 그리고 16진수의 관계 지금부터 볼 내용은 8진수와 16진수. 진법에 관해서 포스팅한 내용을 꼭 읽고 아래 내용을 읽기 바랍니다.물론, 자신 있으면 그냥 보셔도 되지만... 이전 내용을 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굉장한 차이가 있을거라 생각 됩니다... ^^;; 진법의 정의, 개념, 변환, 총 정리. 8진수는 0~7을 나타낼 수 있다. 그렇다면 가장 큰 수인 7의 이진수 값은? 바로 111 이다. 즉 비트 3개로 표현 할 수 있다. 당연히 7보다 작은 숫자들도 표현 가능하다.결국 8진수 값은 3개 비트만 있으면 모두 표현 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마찬가지로 16 진수는 0~15를 나타낼 수 .. 2013. 1. 8.
윈도우7 사용자계정 비밀번호 분실 / 초기화 / 뚫기 / 첨부파일 / 스샷 2탄. 윈도우7 사용자계정 비밀번호 분실 / 초기화 / 뚫기 / 첨부파일 / 스샷 2탄.윈도우7 사용자계정 비밀번호 복구 / 초기화 / 뚫기 / 첨부파일 / 스샷 2탄.윈도우7 사용자계정 패스워드 분실 / 초기화 / 뚫기 / 첨부파일 / 스샷 2탄.윈도우7 사용자계정 패스워드 복구 / 초기화 / 뚫기 / 첨부파일 / 스샷 2탄. 우선은 윈도우 PE(Preinstallation Environment) 환경으로 부팅해야 합니다.잘 모르시는 분은 그냥 윈도우 설치를 위한 부팅이라고 생각하세요. 우선. 윈도우7 시디가 필요합니다. 본인의 컴퓨터가 32비트건 64비트건 상관없이.시디도 32비트, 64비트 상관 없습니다. 윈도우 7 이기만 하면 됩니다.(단지 설치 모드로 들어가기만 하고 설치는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2013. 1. 3.
사진테스트 2012. 2. 8.
[윈도우 xp] 지금 공유 리소스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공유을(를) 공유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서버 서비스가 시작되지 않았습니다. 지금 공유 리소스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갑자기 공유가 되지 않는 문제. 아래와 같은 경고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1. 시작 -> 실행 . 또는 윈도우키 + R 을 누르시면 동일한 수행. 2. 실행 창이 나타나면 services.msc 입력 후 확인. 3. 서비스 창이 나타자면. server 라는 항목을 찾아서 더블클릭. 4. server의 속성창이 나타나면 시작 유형을 선택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 5. 자동으로 변경하면 서비스 상태에서 시작버튼의 클릭이 가능해짐. 6. 시작버튼을 클릭. 서비스를 실행한다는 작은 창이 나와며 완료까지 기다리면 서비스 상태가 "시작됨" 으로 바뀌며 중지와 일시중지 .. 2011. 12. 7.
[안드로이드] 새 프로젝트 만들기. File -> New -> Project 선택. Android Project 가 있다면 바로 선택. Android Project 선택 -> Next 프로젝트 이름 입력 -> Next Application Name 입력. Package Name 입력. (일반적으로 아래처럼 . (점) 이 2개가 들어가게 입력합니다. .(점)을 기준으로 하위 폴더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SDK를 선택. 버전에 따라 숫자가 정해져 있습니다. Finish 선택. 기본적으로 이렇게 생성이 되면, 바로 실행 해도 Hello Android 와 같은 결과가 나타남. 2011. 11. 25.
[자바] 간단하지만 헛갈리는 이상한 것들? (계속 추가 중) 버튼의 이름 바꾸는 방법. (버튼 이름 바꾸기) 버튼 이름을 바꾸고 싶었는데, 어떤게 버튼 이름에 대한건지 몰라서 많이 허덕였다.- -;; 그 전에, 몇가지만 알아보자. 자바에서 그래픽쪽 관련된게, 기본(awt) 과 J가 붙은 것(swing)들이 있다. 사실 큰 차이는 잘 못느끼고, awt로 만든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보는 컴퓨터의 O/S에 따라 화면이 조금씩 달라지게되는데 Swing으로 작성한 경우 통일 시켜서 어떤 O/S 에서든 동일한 화면을 보여준다고 한다. 버튼 할꺼니까, 버튼만 살짝 비교하면서 보자. 이게 awt 의 Button을 사용하는 모습. import에서 awt의 Button을 하고 있다. 버튼의 이름이 찾는데 고생을 좀 했는데. 눈에 띄는게 getName()이라 해봤더니 다른게 나왔다 .. 2011.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