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 char을 int형으로 int형을 char형으로. 간단한 예제.
일단 기본 설명을 하자면
atoi, atof, itoa함수 원형은
int atoi (const char* str)
double atof (const char* str)
char *itoa ( int value , char *str , int radix );
대충 이런식이다. 보면 아는 사람도 있겠지만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는 것은 atoi
문자열을 실수로 바꾸는 것은 atof
정수를 문자열로 바꾸는 것은 itoa 이다.
일단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정수로 바꿀 때 당연히 숫자만 정수로 바뀌며
문자가 시작 된 다음부터는 인식하지 않는다.
ex)"2005년도 10월" 이라고 하면 2005만 정수로 바뀌어서 저장 됨.
일단 기본 설명을 하자면
atoi, atof, itoa함수 원형은
int atoi (const char* str)
double atof (const char* str)
char *itoa ( int value , char *str , int radix );
대충 이런식이다. 보면 아는 사람도 있겠지만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는 것은 atoi
문자열을 실수로 바꾸는 것은 atof
정수를 문자열로 바꾸는 것은 itoa 이다.
일단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정수로 바꿀 때 당연히 숫자만 정수로 바뀌며
문자가 시작 된 다음부터는 인식하지 않는다.
ex)"2005년도 10월" 이라고 하면 2005만 정수로 바뀌어서 저장 됨.
간단한 예제를 보자.
위에서 보이듯이 itoa는 2진수로도 출력이 가능하다.
뒤에 숫자만 바꿔주면 된다.
유용한 정보가 되셨다면 아래 손가락 한번 눌러주세요 ^-^
뒤에 숫자만 바꿔주면 된다.
유용한 정보가 되셨다면 아래 손가락 한번 눌러주세요 ^-^
'프로그래밍.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버블소트 / 버블정렬 / 거품정렬 간단예제. (2) | 2011.05.11 |
---|---|
[C언어] 랜덤함수 사용법. rand(), srand() 간단예제. (8) | 2011.05.11 |
동적 메모리 할당 (malloc / calloc / realloc / free) (2) | 2011.04.26 |
구조체에서 char의 크기가 다른 이유. char형 int 강제 형 변환(정수의 승격.) (0) | 2011.04.10 |
typedef란? typedef 사용법 (0) | 2011.03.28 |